십이신살 외우는 법, 찾는 법, 십이운성과 십이신살

십이신살 찾는 법

십이신살 썸네일 이미지 별들이 보이는 사진입니다.

십이신살, 삼합의 원리로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십이신살은 일지와 년지를 기준으로 보는 방법이 있는데 여기서는 일지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일지의 방법을 숙지 하신 후에 년지를 기준으로 십이신살을 그대로 적용하시면 십이신살을 쉽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

십이신살은 지지와 지지의 관계를 보는 것입니다. 장성살이 가장 강한 기운이 됩니다.

일지를 기준으로 합니다.
일지가 어느 삼합에 해당하느냐를 먼저 찾습니다.
삼합은 해묘미, 인오술, 사유축, 신자진이 있습니다.

시 일 월 년
 

정축일주의 경우 축토는 사유축 삼합 그룹에 속합니다.

십이신살 외우는 법

그지장화 :

일지의 삼합을 기준으로 대입해서 십이신살을 찾는 방법입니다.

일지 삼합을 이루는 글자 대로 지장화(지살, 장성살, 화개살)를 대입하면 됩니다.
일지가 사유축 삼합에 해당하는데 사유을 지장에 대입하면 화개살이 됩니다.

시 일 월 년
 ○ ○
○ ○

일지 기준으로 사화는 지살에 해당합니다.

시 일 월 년
○ ○
○ ○

일지 기준으로 유금은 장성살에 해당합니다.

시 일 월 년
○ ○
○ ○

일지 기준으로 축토는 화개살에 해당합니다.

충역재월 :

일지 기준 삼합에 해당하는 글자들과 이 되는 것을 대입하면 사유축과 충하는 해묘미가 있습니다.
해묘미를 역재월(역마살, 재살, 월살)에 대입하면 해수는 역마살, 묘목은 재살, 미토는 월살이 됩니다.

시 일 월 년
○ ○
○ 亥

일지 기준으로 사화와 충하는 글자는 해수이고 역마살에 해당합니다.

시 일 월 년
○ ○

일지 기준으로 유금과 충하는 글자는 묘목이고 재살에 해당합니다.

시 일 월 년
○ ○

일지 기준으로 축토와 충하는 글자는 미토이고 월살에 해당합니다.

일지 기준 지살에 해당하는 글자와 충하는 글자가 역마살이 됩니다.

일지 기준 장성살에 해당하는 글자와 충하는 글자가 재살이 됩니다.

일지 기준 화개살에 해당하는 글자와 충하는 글자가 월살이 됩니다.

앞천망육 :

일지 기준 삼합에 해당하는 글자(사유축)의 에 오는 글자를 천망육(천살, 망신살, 육해살)에 대입합니다.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에서

시 일 월 년
○ ○
○ ○

사화의 앞에 오는 것은 진토이고 진토는 천살에 해당합니다.

시 일 월 년
○  ○ ○
申 酉 ○ ○

유금의 앞에 오는 것은 신금이고 신금은 망신살에 해당합니다.

시 일 월 년
○ ○
○ ○

축토의 앞에 오는 것은 자수이고 자수는 육해살에 해당합니다.

일지 기준 지살에 해당하는 글자의 앞에 오는 글자가 천살이 됩니다.

일지 기준 장성살에 해당하는 글자의 앞에 오는 글자가 재살이 됩니다.

일지 기준 화개살에 해당하는 글자의 앞에 오는 글자가 육해살이 됩니다.

뒤연반겁 :

일지 기준 삼합에 해당하는 글자(사유축)의 에 오는 글자를 연반겁(년살, 반안살, 겁살)에 대입합니다.

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에서

시 일 월 년
○ ○
○ 巳 午

사화의 뒤에 오는 것은 오화이고 오화는 년살에 해당합니다.

시 일 월 년
○  ○ ○
○ 

유금의 뒤에 오는 것은 술토이고 술토는 반안살에 해당합니다.

시 일 월 년
○ ○
○ 

축토의 뒤에 오는 것은 인목이고 인목은 겁살에 해당합니다.

일지 기준 지살에 해당하는 글자 다음에 오는 것이 연살이 됩니다. 흔히 말하는 도화살이 있다는 것이 연살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연살이 진짜 도화살을 의미합니다. 보통 자오묘유가 도화의 기운이 있다고 하는데 엄밀히 말하면 이 말은 잘못된 말입니다. 왕지의 글자들의 기운이 있다고 보는 것이 맞는 것이지 도화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일지 기준 장성살에 해당하는 글자 다음에 오는 것이 반안살이 됩니다.

일지 기준 화개살에 해당하는 글자 다음에 오는 것이 겁살이 됩니다.

십이운성과 십이신살

십이신살 겁살 재살 천살 지살 연살 월살 망신살 장성살 반안살 역마살 육해살 화개살
십이운성 장생 목욕 관대 건록 제왕

십이운성은 천간과 지지의 관계를 보는 것입니다. 천간과 지지가 놓이는 것에 따라서 어떤 힘의 에너지를 갖는가? 어떤 특징이 있는지를 보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일주론에서 주로 대입해서 보는 글자는 일지가 병지일 때 십이신살로 역마살에 해당합니다.

병지=역마살이기 때문에 일지가 병지일 때 여행을 해서 스트레스를 풀지 않으면 병이 생길 수 있다고 보기도 합니다.

양지=천살이기 때문에 일지가 양지일 때 느긋한 성격이고 의존적인 성격이 되기 쉬운데 십이신살로 천살에 해당합니다. 주도권이 내가 없는 모습입니다. 배우자에게 휘둘릴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봅니다. 양지의 느긋함, 의존적인 성격, 십이신살 천살의 주도권 없는 모습은 어느 정도 통하는 면이 있습니다.

일주론 보기전에 십이운성을 간단히 외우고자 한다면?

일주론 보기 전에 십이운성 간단히 외워두면 좋을 것들

일주론 보기 전에 십이운성 간단히 외워두면 좋을 것들

십이운성 보러가기

십이신살 보러가기

Leave a Comment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