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론-56-계묘일주-癸卯日柱

일주론-56-계묘일주-癸卯日柱

 

계묘일주 천간계_

계묘일주 지지묘_

 

지지 묘목의 지장간

묘목의 지장간에는

갑목10 상관

을목20 식신

이 들어 있습니다.

 

계묘일주 일반 성향 및 진로

계묘일주는 일주에 식신을 두고 있습니다.
의식주가 풍요로운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먹을 복이 있거나 옷을 많이 가진 사람이 많습니다.

계수는 수증기, 이슬, 흐르는 물을 뜻합니다. 
묘목은 봄의 절정의 기운을 뜻합니다. 시간으로는 05:30~07:30분입니다. 만물이 깨어나는 시간입니다. 싱그럽고 아름다운 기운입니다.

식신은 다른 사람들에게 잘 베푸는 경우가 많습니다.
음식을 같이 먹는 것을 좋아합니다.
봉사 활동을 하면서 살아가는 경우나 기부 같은 것을 잘 하는 편입니다.

식신이 천을귀인이 되었으므로 먹는 것, 입는 것에는 별 문제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돈을 많이 벌어도 아침을 못 얻어 먹고 사는 사람이 있는데 식신이 천을귀인이 된 구조로 이렇게 있으면 밥을 잘 얻어 먹고 다니는 편입니다. 

일주 외의 다른 곳에 편재가 있을 때 식신(재주)를 수단으로 하여 돈을 버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개인 사업, 장사가 가능해 집니다.
일간이 편재를 다루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힘이 있어야 되는데 일간의 힘이 약할 경우 다른 사람의 돈을 다루게 될 수 있습니다. 

일주 외의 다른 곳에 정재가 있을 경우 직장 생활, 조직 생활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목은 대체로 어린 물상을 뜻합니다.
계수는 천간의 마지막 글자이며 지혜를 뜻하는데 계수(지혜)가 묘목(어린 물상)을 생해 주고 있습니다.
교육 분야로 진출이 가능합니다. 정관이나 편관이 있을 경우 정부 기관을 끼고 하는 지원 사업, 학교 선생님, 교사도 가능한 모습입니다.

계묘일주는 문창귀인을 가지고 있습니다. 머리가 좋고 처세술이 좋은 편입니다.
말도 잘하는 편입니다.
식신의 특징인 사람 좋은 모습을 지니고 있습니다.
악의 자체가 별로 없는 순수한 사람이 많은 편입니다. 

계묘일주는 천간에 갑목, 을목이 드러나면 진짜 똑똑한 모습을 보이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계묘일주는 천을귀인 일주입니다.
이를 일귀격이라고 합니다.
사람이 귀티가 나고 고상해 보이는 모습이 있습니다.
본인이 안 그럴 경우는 배우자가 이쁘거나 잘 생긴 경우가 많습니다.

계묘일주는 정관을 보는 것 보다는 편관을 보는 것이 낫습니다. 편관은 어려운 일, 힘든 일을 뜻하는데 나의 재주로 난제를 해결을 하게 되어 이름을 높이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계묘일주는 관습, 법에 따르기 보다는 혁신 하려는 마음, 비판적인 마음, 개혁 성향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식신이 있어서 연구하고 오래 궁리하는 힘이 있습니다.
문창귀인이 있어 똑똑하고 총명한 편입니다.
대체로 기술 분야, 생산 수단을 이용해서 뭔가를 제조하거나 만드는 분야, 요식업 분야로 진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목은 어린 물상이기 때문에 교육 분야, 육영 사업으로 진출하기도 합니다.

식신은 말하는 힘인데 묘목은 퍼져나가는 기운입니다.
언론 기관에 종사하게 될 수 있습니다.

계묘일주가 미토 편관을 보게 되면 묘미 반합으로 목기운이 만들어 집니다.
어려운 일(건설하는 일)을 나의 재주로 수행한다는 뜻도 되어 건축, 토목 분야로 진출하게 될 수 있습니다. 

계묘일주가 인성을 잘 갖춘 경우 연구직 분야로 진출하기도 합니다. 

계묘일주는 일지에 식신을 두고 있어 대체로 나의 재주를 활용하는 분야로 진출을 하는 편이며 구조가 잘 갖춰진 경우 전문 기술 분야로 진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식신은 상관만큼 가공을 많이 하거나 응용을 많이 하는 편이 아니라 날 것 그대로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물고기를 판다고 하면 상관의 경우는 생선을 튀기거나 소스를 화려하게 두르는 반면에 식신은 회로 내놓는 느낌입니다. 
식신은 주로 의식주와 관련된 물품이나 기술을 다루는 경우가 많습니다. 요식업 분야도 괜찮습니다.
사업을 한다면 이런 방향으로 진행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계묘일주는 교육 분야, 육영 분야, 출판 분야, 토목 분야, 건축 분야, 원예 분야에 진출하기에 좋은 물상을 지니고 있습니다.

대체로 여유가 있는 편입니다. 대체로 사는 모습이 의식주가 괜찮은 경우가 많습니다. 

묘목을 일지에 두고 있으며 왕지의 글자라 대체로 여유 있게 천천히 움직이는 편이며 마음에 여유가 있는 편입니다.
사람과의 연대를 통해서 일을 추진하는 모습입니다.
안정적으로 집 안의 경제를 운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현실적입니다.

묘목은 토끼를 나타내며 토끼는 좁은 공간을 많이 돌아다니는 모습입니다. 이사를 자주 다니거나 여행을 자주 다닐 수 있는 모습입니다.

 

학업

묘목의 지장간에는

갑목10 상관

을목20 식신

이 들어 있습니다.

문창귀인이 있어 머리는 좋은 편인데 식신은 인성과 반대되는 기운으로 인성의 꾸준함, 참을성, 끈기가 부족한 모습이 되기 쉽습니다.

자신이 관심 있는 과목을 공부하고 궁리하는 것은 좋아하는 편이며 성적도 좋은 편입니다.

단기로 승부를 보는 중간고사나 기말고사의 성적은 좋을 수 있습니다. 자격증이나 단기 수료도 좋은 모습입니다.
하지만 시험 범위가 넓거나 오랜 기간 공부해야 하는 입시, 공무원 시험에서는 불리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머리가 좋은 것에 비해서는 식신과 인성이 반대되는 기운이라서 자신의 실력보다 조금 낮은 학교에 진학하는 편입니다.

 

배우자

남자의 경우 배우자와 잘 지내는 편입니다.
계묘일주 남자는 배우자에게 알아서 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묘목이 천을귀인이 됩니다.
식신이나 상관이 사주에서 2개가 안넘어갈 경우 처가가 괜찮은 경우가 많습니다.
처가의 집안이 좋은 편입니다.
식신이 일지에 하나만 있거나 천간에 을목이 투출한 경우 처의 집안이 좋은 편입니다.

남자의 경우 식신생재가 잘 되는 구조입니다.
식신생재가 될 경우 배우자 복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자의 경우 계묘일주는 대체로 이쁜 편입니다.
계수는 비를 뜻하고 묘목은 화초(꽃)을 뜻합니다.
비를 맞고 있는 청초한 꽃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대체로 날씬한 편이고 이쁜 편입니다. 

여자의 경우는 식신이 정관이나 편관을 밀어내므로 연애는 잘 하는 편(식신이 표현하는 힘)이나 배우자가 배우자 자리(일지)에 정착, 안정이 잘 안되는 모습(잔소리로 밀어내는)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식을 낳은 후에 모든 관심이 자식으로 치우치기 쉬운 구조입니다. 자식을 낳고 배우자와의 관계가 소원해질 수 있으므로 노력이 필요한 모습입니다.

여자의 경우 자식을 낳기 전에는 배우자와 잘 지내는 편이나 자식을 낳고 나면 모든 관심이 자식에게 쏠려 배우자와 멀어질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여자의 경우 자식을 나타내는 식신이 천을귀인이 되었으므로 자식이 출세하거나 사회적인 지위를 획득하거나 돈을 잘 버는 자식과 인연이 될 수 있습니다.

계수일간은 지혜가 있는 편이고 일지에 묘목을 두어서 배우자에게 잘하는 편입니다.
음일간들은 배우자에게 잘 맞추는 성향을 대체로 가지고 있는 편입니다.
배우자와 갈등이 있다고 해도 슬기롭게 극복을 잘하는 편입니다.

 

계묘일주 남녀의 차이

남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양으로 태어나 해묘미 목국으로 양으로 운동하는 묘목의 글자를 쓰기 힘들어 하는 모습입니다.

여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음으로 태어나 해묘미 목국으로 양으로 운동하는 묘목의 글자를 쓰기 수월해 하는 모습입니다.

 

 

계묘일주 십이운성

계수가 묘목에서 십이운성 장생이 됩니다. 

장생은 인간의 생애 주기에서 이제 막 태어난 여러 사람에게 사랑 받는 모습을 뜻합니다. 
아기가 태어난 직후에 하루하루 무럭무럭 자라나므로 상승의 기운도 가지고 있습니다.
식신과 장생이 동주하는 모습이라 건강도 좋은 편이고 대체로 동안이 많으며 수명도 긴 편입니다.

병화 정재는 묘목에서 십이운성 목욕이 됩니다.
정화 편재는 묘목에서 십이운성 병지가 됩니다.

목욕은 한 번 출렁하면서 내려갔다가 올라가는 기운입니다. 
병지는 시들시들해져 가는 기운입니다. 

재성의 힘이 그리 강하지 못한 모습입니다. 

개인 사업, 장사를 한다면 자금의 유동성이 좋았다가 나빴다가를 반복할 수 있습니다. 

남자의 경우 병화 정재를 쓴다면 배우자와 사이가 좋았다가 나빴다가를 반복하는 모습입니다. 
남자의 경우 정화 편재를 쓴다면 배우자가 바쁜 사람일 수 있습니다. 바쁘지 않은 사람이라면 건강이 안 좋을 수 있으므로 건강을 잘 챙겨 주어야 합니다. 배우자와 여행을 많이 다니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무토 정관은 묘목에서 십이운성 목욕이 됩니다.
기토 편관은 묘목에서 십이운성 병지가 됩니다.

목욕과 병지는 위에서 설명하였습니다. 

관성의 힘이 그리 강하지 못한 모습입니다. 

직장에서 좋았다가 나빴다가를 반복할 수 있습니다. 

여자의 경우 무토 정관을 쓴다면 목욕이 되므로 사이가 좋았다가 나빴다가 합니다. 무계합이 되어 대체로 사이가 좋은 편입니다.
여자의 경우 기토 편관을 쓴다면 배우자가 바쁜 사람일 수 있습니다. 바쁘지 않은 사람이라면 건강이 안 좋을 수 있으므로 건강을 잘 챙겨야 합니다. 배우자와 여행을 많이 다니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계묘일주 공망되는 지지

계묘일주는 진사가 공망이 됩니다.

진토 정관이 공망이 됩니다.
사화 정재가 공망이 됩니다.

정관은 나를 고귀하게 만드는 힘인데 진토 정관이 공망이 되어서 조금 아쉽습니다.
진토 정관이 사주에 있는 경우 나의 실력보다 조금 낮은 직장이나 조직과 인연이 될 수 있습니다.
지지의 글자는 술토 정관을 사용해야 하는 모습입니다. 

사화 정재, 천을귀인이 공망이 됩니다. 천을귀인의 좋은 작용력이 약해집니다.
사화가 사주에 있다면 사업이나 장사를 했을 때, 내가 하는 것에 비해 돈이 잘 안 들어 올 수 있습니다.
오화 편재를 써야 하는 모습이 됩니다. 

남자의 경우 사화 정재가 공망이 되어 아쉽습니다.
정재는 정기적인 수익, 월급을 뜻하는데 공망이 되어 경제력, 돈의 유동성이 안정적이지 못한 현상이 있습니다. 

정재는 인성을 극하는 힘인데 정재가 공망이 되었으므로 문서나, 공부 방향은 좋아지는 모습입니다. 인성이 사주에 있다면 부동산, 집문서, 상업 문서 등으로 돈을 벌게 됩니다.

계묘일주는 의식주 관련해서 개인 사업, 장사를 하면 좋습니다. 

 

계묘일주 묘목이 장생시키는 글자

묘목은 계수를 장생시킵니다. 

일간을 장생시키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호감인 모습을 보이며 상승의 기운을 가지고 있습니다.

 

운에서 묘목 식신이 오게 되면

식신은 관성을 극하는 힘입니다.
직장을 잘 다니다가 인묘진 목운이 들어오게 되면, 회사를 그만두고 싶은 마음이 커지며, 자기가 배우고 싶은 것을 배우러 가거나 기술을 배우러 가게 될 수 있습니다. 

 

사주에 진토가 있을 경우

진토는 壬임수와 辛신금을 입묘시킵니다.

임수는 겁재이고 辛신금은 편인입니다. 

겁재가 입묘가 되므로 경쟁에서 유리한 모습이 됩니다.
나의 경쟁자를 뜻하는 글자의 기능이 하락 되었습니다.
내가 상대적으로 경쟁자 보다 돋보일 수 있습니다.
형제나 동료가 있다면 형제나 동료가 도움이 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편인이 입묘 되었습니다.
식신을 편인이 극을 하여 편인도식이라고 이야기 하는데 편인을 나타내는 글자인 辛신금이 입묘되므로 편인 도식이 덜 되는 모습입니다. 괜찮습니다. 

계묘일주는 진토의 글자를 잘 못 사용하는 모습입니다.
묘목의 글자가 진토를 극하고 있고, 진토가 공망이 되어 토기운의 기능이 약해졌습니다.
진토 정관의 글자의 기능이 떨어진 모습입니다. 

 

계묘일주 예시

○ 癸 ○ ○
○ 卯 未 ○

계묘일주 입니다. 일지에 미토 편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묘미 반합으로 목국을 만들어서 편관을 목의 기운으로 바꿨습니다.
이런 구조의 경우 관습을 고치려는 사람, 개혁하려는 사람, 현 체제에 비판적인 사람이 됩니다.
또는 자신의 재주로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있는 사람일 수 있습니다.

○ 癸 ○ ○
○ 卯 丑 ○

계묘일주가 월지에 축토 편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축토 편관을 묘목이 극하고 있습니다. 나의 재주로 난제를 다룰 수 있는 모습입니다. 

묘목과 축토는 격각이 되어서 내가 난제를 해결 하기 위해서 멀리 가야 한다는 것을 뜻합니다. 

직장이나 사회생활을 하기 위해서 멀리 이동을 한다거나 출장이나 해외를 자주 오가는 직업에 종사할 수 있습니다.

○ 癸 ○ ○
○ 卯 酉 ○

월지와 일지가 묘유충이 되었습니다. 배우자 자리가 흔들리고 있습니다. 

일지는 나의 몸을 뜻하기도 합니다. 유금에 의해서 충이 되었으니 나의 건강도 주의를 해야 합니다.

여자의 경우 자식의 건강이 안 좋을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 癸 ○ ○
○ 卯 戌 ○

일지의 묘목과 술토가 묘술합(육합)이 되는 모습입니다.
묘목을 천간으로 올리면 을목이 되는데 술토로 입묘되는 모습입니다.
식신의 작용이 약해지며 묘술합이 되어 재성의 기운이 되므로 좀 더 현실적인 성향을 지니게 됩니다.

여자의 경우 자식의 건강이 안 좋아 질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술토가 월지를 차지하고 있어서 정관격입니다. 묘술 합으로 화의 에너지를 만들어지게 되어 정관을 생해주고 있으므로 좋은 구조입니다.
정관은 나를 고귀하게 만들어주는 힘입니다. 

이런 구조의 경우 회사 또는 조직에서 승진을 잘하는 모습을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 癸 ○ ○
○ 卯 辰 ○

월지에 진토를 두고 있습니다. 진토 정관은 계묘일주에게 공망이 됩니다.
묘진 방합으로 목의 기운이 강해집니다. 
진토가 거의 목의 기운으로 변신을 하는 모습이기 때문에 정관의 기운이 약해지는 모습입니다. 진토 공망이 되어 더 약해지는 느낌입니다.

甲 癸 ○ ○
寅 卯 ○ ○

○ 癸 甲 ○ 
○ 卯 寅 ○ 

계묘일주가 이렇게 묘목과 갑인이 있어서 상관을 같이 본 경우 취미 부자가 많습니다. 이것 저것 많은 취미를 가지며 재밌게 사는 편입니다. 

여자의 경우 상관이 강해지는 모습이므로 배우자를 밀어내는 힘도 또한 강해지게 됩니다. 

여자의 경우 상관을 둔 것 보다 식신을 둔 것이 이쁘다고 합니다. 남자의 경우도 비슷합니다.

乙 癸 ○ ○
卯 卯 ○ ○

이런 구조의 경우 식신이 있어서 하는 행동이나 말이 이쁜 경우가 많습니다. 식신이 천간으로 드러났기 때문에 내세울만한 말재주, 재주, 표현력이 있는 모습입니다.

○ 癸 ○ ○
○ 卯 寅 午

남자 계묘일주의 경우 정재가 년지에 있어 결혼을 일찍 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결혼을 안했다면 어렸을 때 결혼에 갈 정도의 인연을 만났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甲 癸 ○ ○
寅 卯 ○ ○

여자 계묘일주입니다. 시주가 갑인시가 되어 말년에 자식이 장성할 수 있습니다. 

말년에 상관이 이렇게 기둥으로 있으면 배우자를 밀어내는 힘이 강해지게 됩니다. 황혼 이혼을 준비하고 있다면 가능한 모습입니다.

 

묘목 위치에 따른 해석

○ 癸 ○ ○
○ ○ ○ 卯 

묘목이 년지에 있을 때, 어렸을 때 의식주가 풍족했을 수 있습니다.
집안으로부터 지원을 받게 됩니다.
문창귀인이 되어 어렸을 때 똑똑한 모습을 보일 수 있습니다.

○ 癸 ○ ○
○ ○ 卯 ○

묘목이 월지에 있을 때, 식신격이 됩니다. 
기술 방향의 직업, 요식업, 생산, 제조 관련 직업을 얻기 쉽습니다.
문창귀인의 똑똑함을 사회에 발현 시키며 살아가게 됩니다.
묘목은 계수를 장생시키므로 계수의 글자가 나타내는 지혜, 지식 분야의 직업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乙 癸 ○ ○
卯 ○ ○ ○

묘목이 시지에 있을 때, 을묘시가 됩니다.
말년에 의식주가 풍족할 수 있습니다. 

여자의 경우, 자식이 괜찮은 경우입니다. 출세하거나 성공하는 자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자평진전(子平眞詮)
궁통보감(窮通寶鑑)

계수의 물상 보러 가기

묘목의 물상 보러 가기

계해일주 보러 가기

계미일주 보러 가기

계묘일주 일주론 현대인의 사주산책

겁재 현대인의 사주산책

식신 현대인의 사주산책

상관 현대인의 사주산책 

정재 현대인의 사주산책

편재 현대인의 사주산책

정관 현대인의 사주산책

편관 현대인의 사주산책

정인 현대인의 사주산책

편인 현대인의 사주산책

장생지 현대인의 사주산책

목욕지 현대인의 사주산책

병지 현대인의 사주산책

육합 현대인의 사주산책

삼합 현대인의 사주산책

방합 현대인의 사주산책

지지 충(인신충, 사해충, 자오충, 묘유충) 현대인의 사주산책

천을귀인 현대인의 사주산책

문창귀인 현대인의 사주산책

격각살 현대인의 사주산책

공망 현대인의 사주산책

Leave a Comment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