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 통변 형 통변 관련된 내용을 다뤄 보려고 합니다. 보통 충은 정면충돌, 형은 지연 간섭으로 알고 있습니다. 충 형 통변 방법을 더 깊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충 통변
“충은 교체한다.”, “새로운 것으로 바꾼다.” 는 뜻이 있습니다.
기존의 낡은 것을 바꾸거나 하는 일이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오래된 연인이 있는데 연인에게 싫증 났다면 새로운 사람으로 바꿀 수도 있습니다. 만약 이어가고자 하는 마음이라면 한다면 연인과 뭔가 새로운 것을 해나갈 수도 있는 운입니다.
연인과 여행을 간다던지 아니면 서로 일때문에 바빠지거나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서 일시적으로 몸이 멀어지는 상황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부부가 둘 다 갑진일주라면 술토가 들어오는 때에 일 때문에 주말부부가 된다거나 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성형수술을 한다면 충운에는 얼굴이 몰라볼 정도로 많은 것이 바뀌게 되고 완전히 다른 사람처럼 보일 정도로 티가 많이 나게 성형수술의 결과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수술이 잘되고 안되고는 격이 성이 되느냐 패가 되느냐를 봐야 할 것 같습니다. 또는 이성운을 봐야 할 듯 합니다.
형 통변
형은 인사신 삼형의 경우 인목은 동쪽으로 사화는 서쪽으로 달리고 신금은 북쪽으로 달립니다. 서로 열심히 달렸을 뿐입니다. 그런데 3글자 모두 신통력이 강한 동물 글자(호랑이, 뱀, 원숭이)이기 때문에 양보 없이 달리는 경향을 지니고 있습니다. 필연적으로 3 동물을 중재를 해야 할 일이 생기게 됩니다.

인사신 삼형이 있는 사람은 3가지 일을 동시에 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런데 그 3가지 일이 방향성이 맞지 않아서 조정을 해줘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
보통 형이 있을 때 나이가 젊어지는 수술 같은 것을 하는데 별로 변화는 없는 모습입니다. 5년 전으로 돌아가는 정도로 수술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5년전으로 원상복귀된다는 의미를 지닙니다. 형은 “고장난 것을 원상 복귀 시킨다.”, “기능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것을 수정한다.”, “옷이 떨어진 것을 꿰메서 쓴다”는 의미를 지닙니다.
축술미 삼형의 경우는 화개살이어서 감춰진 능력을 지닌 글자들입니다. 토는 잡기라 하여 여러가지 다양한 재주들이 많습니다. 이런 능력이 평소에는 드러나지 않는 것이 특징인데 뭔가를 열심히 몰두하고 있는 것도 특징입니다.

자신의 능력을 감추거나 마무리 할 수 있는 능력이 강한 동물들(소, 개, 양)의 형입니다. 토가 충이 되면 개고가 되는데 화개는 꾸준히 뭔가를 하는 성향으로 그동안 해왔던 것들이 형이 되는 순간 지장간의 글자들이 밖으로 나오면서 결과물이 나오기도 합니다. 어떤 십성으로 나오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게 됩니다.
인신사 글자의 특성
인신사 운에는 뭔가를 시작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해수의 글자도 생지의 글자이기 때문에 뭔가를 시작합니다.)
예를 들어 인오술 삼합의 경우 인목에 시작했던 일이 오화 운에 뭔가 전문가 집단에서 같이 일을 하자고 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인목운에 시작하고 꾸준하게 정진을 했어야 이런 일이 발생하게 됩니다. 노력은 디폴트입니다. 인목에 차분히 뭔가를 진행했다면 오화 운에 정점에 도달하게 됩니다.
자오묘유 글자의 특성
자오묘유는 왕지의 글자입니다. 이미 완성이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자오묘유를 가진 사람은 전문가나 전문직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지지가
○ ○ ○ ○
○ 오 인 사
이렇게 구성이 되어 있다면 인오가 삼합 중에 반합이 되고 인오가 화의 형태로 완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사 형의 작용이 적게 일어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는 인오는 완성되어 있으니 사화만 조정이 일어나는 형국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자유, 인미, 축오, 묘신, 사술, 진해 귀문에 관련해서
귀문
귀문은 자유는 왕지의 조합인데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습니다.
인미는 목이 토를 극하는데 미토(정을기)와 인목(무병갑) 중 갑기합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축오는 축토(계신기)와 오화(병기정) 중에 지장간 속에 병신합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묘신은 묘목(갑을)과 신금(무임경) 중에 지장간 속에 을경합이 되고 있습니다.
사술은 사화(무경병)과 술(신정무) 중에 지장간 속에 병신합이 되고 있습니다.
진해는 진토(을계무)와 해수(무갑임) 중에 지장간 속에 무계합이 되고 있습니다.
귀문의 글자들은 자유 귀문 왕지의 귀문 외에 어찌 되었든 지장간에서 합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합의 의미
합은 얻는 다는 뜻 이 있습니다. 겉은 서로 극이 되거나 다른 방향성의 글자들이 지장간 속에 합이 되므로 전혀 그렇지 않을 것 같은 관계에서 뭔가를 얻는 일이 많아지게 됩니다.
의외성 넘버원, 엉뚱한 일이 자주 발생하게 됩니다.
삼합은 목적의 합
삼합의 경우는 목적대로 얻는 다는 것을 뜻합니다. “목이 마른데 커피가 먹고 싶어” 이렇게 목적을 정확히 이야기를 하고 커피가 오게 됩니다.
육합은 환경적인 합
육합은 그냥 환경적인 것이 되어 얻는다는 것을 뜻합니다. “목이 말라” 그랬을 때 ‘커피를 먹고 싶은데’ 이렇게 생각만 하고 목적이 전달이 안된 상황이랑 비슷합니다. 쥬스 또는 물, 사이다 콜라가 옵니다. 일단 목이 마른 상황에서 수분을 섭취를 하므로 얻는 것은 맞습니다.
귀문 지장간 합의 의미
귀문은 겉으로 맞지 않는데 속은 합이 되어 있습니다. 원치 않는 것을 얻는다는 것을 뜻합니다. 귀문이 있으면 귀신이 들어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술먹고 말도 안되는 일을 저지르는 사람들을 보면 귀문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귀문이 있는 사람은 술을 마시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귀문이 있으면 번뜩이는 영감으로 놀라운 일을 해내기도 합니다. 아인슈타인이나 철학가, 위대한 작가의 경우 귀문이 있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내가 원하지 않았는데 귀신이 들어오는 상황이 있기도 합니다. 사주가 극 신약일 경우에 관성이 강할 경우에 이런 일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실제로 보지는 못했습니다. 예를 들어 밥을 먹다가 갑자기 애 같이 애교를 부린다거나 하는 상황을 뜻합니다.
신약이란 일간이 힘을 얻지 못한 경우를 뜻하는데 일간이 약한 경우 성대모사에 능한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충이란 응용 보는 법 인신 충, 사해 충, 자오 충, 묘유 충
충, 4고지의 충, 진술충, 축미충, 입묘작용, 입고, 개고 작용
이전 글 보기
고지 여기의 힘 설명 (일주론 보기 전에 알아두면 좋을…)